요리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무엇부터 준비하고 어떤 방식으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요리는 재능이 아니라 기본을 정확히 익히고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는 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요리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세 가지, 필수 도구 준비, 재료 손질법, 그리고 쉬운 레시피 고르는 법을 중심으로 알려드립니다. 천천히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요리가 재미있어지고, 자신감도 생기게 될 거예요.
① 요리 초보를 위한 필수 주방도구 준비
요리를 잘하고 싶다면, 먼저 기본적인 주방도구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훌륭한 요리법도, 필요한 도구가 없다면 따라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죠. 초보 요리사에게 필요한 도구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준비해보세요.
🔪 1. 칼
손에 잘 맞고 무게감 있는 중간 가격대의 칼이 좋아요.
스테인리스 재질은 관리가 쉬워 초보에게 적합합니다.
너무 무딘 칼은 손을 다치기 쉬우니 피하세요.
🪵 2. 도마
고기용과 채소용을 색상이나 재질로 구분해 따로 사용하면 위생에 도움이 됩니다.
플라스틱 도마는 가볍고 세척이 쉬워 입문자에게 유리해요.
🍳 3. 프라이팬
논스틱 코팅(테프론 등)프라이팬을 추천합니다.
음식이 잘 들러붙지 않고, 설거지가 쉬워요.
중간 크기(지름 24~28cm)가 활용도 높습니다.
🥘 4. 냄비
국, 찌개, 라면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형 냄비 1~2개면 충분합니다.
뚜껑이 포함된 제품이면 더 좋습니다.
📏 5. 계량 도구
계량컵, 계량스푼은 간 맞추기 실패 방지의 핵심 도구예요.
한국 요리에 자주 쓰는 ‘큰술(1Tbsp)’, ‘작은술(1tsp)’ 단위를 기억하세요.
🥄 6. 뒤집개, 국자, 채반 등
프라이팬용 실리콘 뒤집개
찌개용 국자
파스타나 채소 데칠 때 쓸 수 있는 채반
➡️ 이 3가지는 요리 도중 자주 쓰이는 실용템이에요.
📌 Tip:
처음부터 모든 도구를 다 갖추려고 하기보다는, 자주 하는 요리 중심으로 필요한 것부터준비하세요.
사용하면서 점차 본인에게 맞는 도구를 추가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② 재료 손질이 요리의 반이다
많은 초보자들이 요리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재료 손질 과정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요리는 조리만큼이나 재료 손질이 50% 이상을 차지합니다. 손질을 잘해두면 조리 시간이 줄고, 음식의 맛과 모양도 한층 좋아지죠.
다음과 같은 기본 손질법을 익혀두면 요리가 훨씬 쉬워집니다.
🔹 1. 손질 전 필수 단계 - 미장플라스(Mise en place)
✔ 미장플라스란?요리에 들어가기 전에 모든 재료를 미리 준비하는 과정
✔ 손질 전 재료를 모두 씻고, 껍질을 벗기고, 적절한 크기로 썰어둔다.
✔ 이렇게 해두면 요리 중 당황할 일이 줄어들고, 맛도 일정하게 유지됨.
🧅 2. 채소 손질 기본법
✔ 양파: 뿌리를 남긴 채 가로 세로 칼집을 넣고 다지면 균일한 크기로 썰기 쉬움.
✔ 대파: 어슷하게 썰면 국물 요리에 적합하고, 송송 썰면 볶음 요리에 적합.
✔ 당근 & 감자:
균일한 크기로 썰어야 익는 속도가 일정해져서 맛이 균형 잡힘.
감자는 물에 담가 전분 제거하면 볶을 때 덜 들러붙음.
✔ 마늘:
다진 마늘: 칼로 다지거나 믹서 사용
편 썬 마늘: 기름에 볶을 때 향을 내는 데 유용
🍖 3. 고기 & 해산물 손질법
✔ 고기 손질
핏물 제거: 키친타월로 꾹 눌러 핏물을 제거하면 잡내가 줄어듦.
돼지고기 & 닭고기: 우유에 10~20분 재우면 잡내가 사라짐.
✔ 해산물 손질
생선: 굵은 소금으로 문질러 비린내 제거 후 흐르는 물에 헹구기.
오징어 & 낙지: 밀가루나 굵은 소금으로 바락바락 주물러 씻으면 미끈거리는 점액질 제거 가능.
⚖ 4. 재료별 보관법 - 신선함 유지하는 꿀팁!
✔ 채소 보관
잎채소(상추, 깻잎): 키친타월에 싸서 비닐봉지에 넣고 냉장 보관
양파 & 감자: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 보관 (같이 보관하면 감자가 빨리 썩어요!)
✔ 고기 & 해산물 보관
소/돼지고기: 1회 사용량씩 랩으로 감싸 냉동 보관
해산물: 손질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냉동
📌 Tip:
✔ 재료 손질은 익숙해지면 요리가 절반은 끝난 것과 같습니다!
✔ 미리 손질해두면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요리 중 실수할 확률도 낮아집니다.
✔ 처음에는 어렵지만 몇 번 반복하면 손이 자동으로 익숙해질 거예요!
③ 초보도 성공할 수 있는 쉬운 레시피 고르기
레시피를 선택할 때 아래 4가지 기준을 고려하면 실패 없이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 1. 조리 과정이 단순한 레시피 선택
✔ 손질해야 하는 재료가 적을수록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실수할 확률이 줄어듭니다.
✔ 볶음, 찜, 국물 요리 같은 한 가지 조리법을 사용하는 요리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 예시)
✅ 쉬움: 계란말이, 볶음밥, 된장찌개
❌ 어려움: 잡채, 라자냐, 찜닭 (여러 단계의 조리 과정이 필요)
🥄 2. 계량이 쉬운 요리 선택
✔ 요리 초보는 소금, 간장, 설탕 등의 양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움→ 계량이 쉬운 레시피가 유리!
✔ ‘간을 보면서 추가’하는 요리는 초보에게 어려우니 피하는 게 좋습니다.
✔ 숟가락 계량(큰술, 작은술)이 명확한 요리가 초보자에게 적합.
✔ 예시)
✅ 쉬움: 오므라이스, 카레, 미역국 (정해진 계량이 있음)
❌ 어려움: 김치찌개, 제육볶음 (간을 보며 조절해야 함)
⏳ 3. 30분 이내 완성할 수 있는 요리 선택
✔ 긴 조리 시간은 초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음.
✔ 불 조절이 필요한 요리는 오래 조리할수록 태우거나, 너무 익히는 실수를 하게 됨.
✔ 초보자는 30분 내외로 완성되는 요리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아요.
✔ 예시)
✅ 쉬움: 김치볶음밥, 토스트, 스크램블 에그 (15~20분 내 완성)
❌ 어려움: 갈비찜, 닭볶음탕, 수제 피자 (1시간 이상 걸릴 수 있음)
📖 4. 따라 하기 쉬운 레시피를 참고
✔ 요리 초보라면 텍스트만 있는 레시피보다는 영상이나 사진이 포함된 레시피가 훨씬 도움이 됩니다.
✔ 유튜브, 블로그, 요리 앱등에서 초보용 레시피를 검색해보세요!
✔ 추천 레시피 유형
🍳 1인분 요리 레시피: 혼자 연습하기 좋아요!
🥗 5가지 재료 이하 레시피: 재료 준비 부담이 적음.
🔥 불 없이 만드는 요리: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어 활용.
📌 Tip:
✔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요리를 선택하지 말고, 작은 성공을 쌓아가세요!
✔ 간단한 요리부터 시작해서 점차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 성공적인 요리를 만들면서 요리에 대한 자신감도 함께 키워보세요!😃
✨ 결론: 요리, 두려움보다 순서가 중요합니다
요리는 재능보다 기본기와 순서, 그리고 연습입니다.
도구를 갖추고, 재료 손질법을 익히고, 초보자용 쉬운 레시피부터 시작하면 누구나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루 한 끼라도 스스로 만들어보는 습관을 들인다면, 요리는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닌 즐거운 취미가 될 거예요.